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아트

010 주재환

bf9aae9dff5b44ac6f9fe1472f0b611a_1639465772_424.png



자유.

야경꾼, 행상인, 편집인, 기자 등 다양한 직업을 가졌던 생활인으로서의 주재환은
원래의 용도와 기능이 애매해진 폐품을 활용해 그것들이 본래 속해 있던 장소나 상황에 대한 환기를 일으킨다.

-

Freedom.

Joo Jaehwan, who had various jobs including editor and reporter,
uses waste products that their initial functions have been lost and ambiguous
to create new perspectives for the place or situation in which they originally belonged. 



bf9aae9dff5b44ac6f9fe1472f0b611a_1639465772_6476.png 
bf9aae9dff5b44ac6f9fe1472f0b611a_1639465772_7502.png
1980년대 후반의 한국미술은 모더니즘 계열의 단색화와 민중미술로 양분돼 있었다.

주재환은 한군데에 얽매이지 않는 신선한 사고로, 관습화된 틀을 거부하며
계단 위에서 떨어지는 오줌줄기를 통해 현대 모더니즘 미술의 과도한 신화화를 풍자하며,
계단을 내려오는 봄비는 뒤샹의 작품을 패러디했다.

-

In the late 1980s, Korean art was divided into modern monochrome art called Dansaekhwa, and Minjung Art.

Joo Jaehwan rejected the traditional frame of art 
and satirized the excessive mythization of modern art through the pee falling from the stairs,
and the spring rain descending the stairs, parodizing Duchamp's work.


 
bf9aae9dff5b44ac6f9fe1472f0b611a_1639465772_9562.png
몬드리안의 순수한 조형 공간 위에 현대사회의 권력, 돈, 성, 미술에 대한 풍자를
몸의 행위들로 덧입혀 각 색의 면을 '방'이나 '유흥공간'으로 바꾸었다.

주재환은 현실을 다층적으로 보여주는 대담한 실험을 통해 미술의 사회적 역할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On top of Mondrian's pure formative space,
satire on the power, money, gender, and art of modern society was illustrated with actions of body
to change the sides of each color into "room" or "space for entertainment."

Joo Jaehwan shows his contemplation on social role of art
through bold experiments that show reality in multiple layers. 





음악과 함께 감상하시면 더 좋습니다 ➡️ PLAYLIST    

이전글
011 오윤
21.12.15
다음글
008 이우환
21.12.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